극지의료 빅뱅! K-헬스케어 총출동...9월 18일 송도 집결
"극지 환경에서의 통합 의료 안전망 구축" - AI 디지털 헬스케어와 극지안전정책의 융합
"AI가 극지를 정복한다" - 대한극지의학회, 디지털 헬스케어로 극한의료 혁명 선언
극지의료 대전환! AI·원격진료로 남극 생존율 획기적 향상 예고
"영하 40도 극한에서도 AI가 생명 지킨다" -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 본격화
대한극지의학회(회장 윤기범)가 오는 9월 18일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제16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극지 환경에서의 통합 의료 안전망 구축'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극지 적용,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 제안, 기후 위기 대응 안전정책 수립 등 한국 극지의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종합적 청사진을 제시한다.
특히 세종·장보고 과학기지, 아라온호, 미답지 탐사단 등 극지 현장의 생생한 의료 활동 보고와 함께, 원격 모니터링, 영상 진단, 스마트 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 솔루션이 발표되어 극지의학의 새로운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 학계, 산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극지의료가 단순한 현장 지원을 넘어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 의학으로 진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The 16th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Academic Conference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 - Convergence of AI Digital Healthcare and Polar Safety Policies
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President James Yun) will host its 16th Academic Conference on September 18 at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 Songdo, Incheon. Under the theme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 this conference will present a comprehensive blueprint for the paradigm shift in Korean polar medicin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AI-based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 in polar environments, proposals for establishing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and the development of safety policies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The conference will feature vivid reports of medical activities from polar field sites including King Sejong Station, Jang Bogo Station, the icebreaker Araon, and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 teams, alongside innovative solutions incorporat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remote monitoring, imaging diagnostics, and smart healthcare, heralding a new leap forward for polar medicine. This academic conference, bringing together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y, is expected to mark a crucial turning point where polar medicine evolves beyond simple field support into future medicine leading global healthcare innovation.

극지의료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종합 학술대회
대한극지의학회(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가 주최하는 제16회 학술대회가 2025년 9월 18일(목)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다. "극지 환경에서의 통합 의료 안전망 구축(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을 대주제로 설정한 이번 학술대회는 급변하는 극지 환경과 증가하는 극지 활동 인구에 대응하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윤기범 극지의학회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극지의료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고,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래 극지의료의 청사진을 그리는 중요한 자리"라며 "특히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 제안을 통해 분산된 극지 의료 지원 체계를 통합하고, 전문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환점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개최 의의를 밝혔다.
학술대회에는 차지호 제22대 국회의원,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 조명신 극지의학회 이사장, 정종오 극지기자단 회장이 축사를 전할 예정이며, 극지 현장 의료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대표, 정책 전문가, 국제 협력 관계자 등 1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하여 극지의료의 혁신 방안을 논의한다.
Session 1: 2024-25 극지의료 보고 - 현장의 목소리와 경험의 공유
📋 프로그램 개요
좌장: 고경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세션 주요 내용
첫 번째 세션은 2024-25년 극지 현장에서 활동한 의료진들의 생생한 경험과 도전 과제를 공유하는 시간이다. 방성규 의사는 제38차 세종과학기지 월동 기간 중 발생한 의료 현안과 대응 사례를 발표한다. 특히 극지 환경에서의 응급 상황 대처, 원격진료 시스템 활용, 월동대원들의 정신건강 관리 방안 등 1년간의 의료 활동 전반을 상세히 보고할 예정이다.
김시림 의사는 제12차 장보고과학기지에서의 의료 활동을 소개한다. 영하 40도를 넘나드는 극한의 추위와 극야 기간 동안의 건강 관리, 제한된 의료 자원으로 다양한 의료 상황에 대응한 경험을 공유한다. 특히 예방의학적 접근을 통한 대원들의 건강 유지 전략과 원격의료 시스템의 효과적 활용 사례가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류리나 의사는 미답지 탐사단의 의료 지원 경험을 발표한다. 인프라가 전무한 미개척 지역에서의 의료 활동은 기지 의료와는 또 다른 도전이다. 이동식 의료 장비 운용, 극한 환경에서의 응급처치, 헬기 후송 체계 구축 등 탐사 의료의 특수성과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민선영 선의는 아라온 쇄빙선에서의 해상 의료 활동을 보고한다. 장기 항해 중 발생하는 다양한 의료 상황, 선박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의 감염병 관리, 극지 연구 활동 중 발생하는 부상 치료 등 해상 극지의료의 현실과 과제를 다룬다.
Session 2: 극지의료지원과 극지안전정책 - 체계적 지원 시스템 구축
📋 프로그램 개요
좌장: 민선영 (서울아산병원 외과)
📝 세션 주요 내용
두 번째 세션은 극지 활동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접근과 제도적 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춘다. 정종오 극지기자단 회장은 언론의 시각에서 바라본 기후 위기와 극지 안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빙하 붕괴, 이상 기후, 생태계 변화 등 급변하는 극지 환경이 연구자들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고, 대중의 인식 제고와 정책적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전성준 연구원은 극지연구소 미답지탐사단의 안전 정책 수립 과정과 실행 경험을 공유한다. 사전 위험 평가, 안전 교육 프로그램, 비상 대응 프로토콜, 국제 협력 체계 등 미답지 탐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이번 세션의 하이라이트는 윤기범 회장의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 제안이다. 현재 각 기관별로 분산 운영되고 있는 극지 의료 지원 체계를 통합 관리하는 전문 기관 설립의 필요성과 구체적 운영 방안을 발표한다. 제안되는 센터는 극지 파견 인력의 사전 건강검진과 교육, 현장 의료진 지원, 원격의료 시스템 운영, 응급 후송 체계 구축, 의료 장비 및 의약품 관리, 극지의학 연구 등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지범 교수는 회복력(Resilience) 개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극지안전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한 위험 회피가 아닌, 극지 환경에 적응하고 위기 상황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방안을 공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특히 인적 요소, 기술적 요소, 조직적 요소를 통합한 다층적 안전망 구축 전략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Session 3: AI가 바꾸는 극지의료 - 디지털 전환의 실제와 전망
📋 프로그램 개요
좌장: 홍종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성형외과)
📝 세션 주요 내용
오후 첫 세션은 AI와 디지털 기술이 극지의료에 가져올 혁신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시간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선도 기업들이 극지 환경에 특화된 솔루션을 발표한다.
성범식 메쥬(MEZU) 본부장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활력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심박수, 체온, 혈압, 산소포화도 등 주요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AI 알고리즘을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극지의 통신 환경을 고려한 데이터 전송 최적화 기술과 배터리 효율성 향상 방안이 포함되어 실용성을 높였다.
이동헌 에이슬립(ASLEEP) 대표는 극지 환경에서의 수면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안한다. 극야와 백야로 인한 수면 리듬 장애는 극지 활동 인력의 주요 건강 문제 중 하나다. AI 기반 수면 패턴 분석, 개인 맞춤형 수면 개선 프로그램, 비접촉식 수면 모니터링 기술 등을 통해 극지 환경에서도 건강한 수면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광진 딥메디(DeepMedi) 대표는 영상 기반 건강 모니터링 기술의 극지 적용 방안을 발표한다. 스마트폰 카메라나 웹캠을 활용한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AI 영상 분석을 통한 피부 질환 진단, 안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정서 상태 모니터링 등 최소한의 장비로 최대한의 의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혁신적 접근법을 소개한다.
박외진 아크릴(Acryl) 대표는 극지 의료 환경을 위한 통합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을 제안한다. 의료 데이터 통합 관리, AI 기반 진단 보조, 원격 협진 시스템, 의료 자원 관리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구현하는 종합 솔루션이다. 특히 극지의 제한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한 엣지 컴퓨팅 기술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데이터 보안 시스템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Session 4: 극한지 연구환경 - 국제 협력과 융합 연구의 확장
📋 프로그램 개요
좌장: 조명신 ((사)대한극지의학회 이사장)
📝 세션 주요 내용
마지막 세션은 극지의학의 국제적 동향과 타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간이다. 극지의학이 단독 분야가 아닌, 다양한 학문과 연계된 융합 과학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윤탁 제35차 월동연구대원은 COMNAP(남극조약 당사국 운영자 위원회) JEGHBM(인간생물학 및 의학 공동전문가그룹)의 최신 활동과 국제 협력 현황을 보고한다. 각국의 극지의료 시스템 비교, 공동 연구 프로젝트, 의료 정보 공유 체계, 응급 상황 시 국제 협력 프로토콜 등을 소개하며, 한국이 국제 극지의료 커뮤니티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과 기여 방안을 제시한다.
석영재 서울대학교 교수는 극지 생활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극지의 고립된 환경, 제한된 식단, 스트레스 등이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 이것이 면역력, 정신 건강, 대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이 연구는 극지 활동 인력의 건강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 우주 임무, 잠수함 승무원 등 유사 환경에서의 건강 관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일본의 Yuya Oda 박사는 일본남극연구대(JARE)의 응급 후송 시스템과 실제 운영 사례를 소개한다. 남극 내륙 기지에서 발생한 응급 환자의 후송 경험, 국제 협력을 통한 의료 항공기 운용, 원격의료를 활용한 사전 진단과 후송 결정 프로세스 등 일본의 선진 사례를 공유한다. 특히 극지에서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신속 대응 체계 구축 방안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김규성 인하대학교 우주환경의과학연구소 교수는 항공우주의학과 극지의학의 공통점과 시너지 효과를 탐구한다. 고립, 폐쇄, 극한 환경이라는 공통 분모를 가진 두 분야의 연구 성과를 상호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우주 비행사 선발과 훈련 프로그램, 장기 임무 중 정신건강 관리, 원격의료 시스템 등 우주의학의 노하우를 극지의학에 접목하는 구체적 방안을 논의한다.
최수범 국립인천대학교 교수는 북극항로 개발과 함께 확대되는 새로운 극지 연구 환경을 조망한다.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상선 승무원의 건강 관리, 북극 자원 개발 현장의 산업 의학, 북극 원주민 건강 지원 등 기존 남극 중심의 극지의학에서 북극으로 확장되는 새로운 의료 수요와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특히 북극권 국가들과의 의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극지의학의 패러다임 전환과 미래 전망
🎯 통합 의료 안전망 구축의 시급성
이번 학술대회가 제시하는 '통합 의료 안전망'은 단순한 의료 서비스 제공을 넘어선 종합적 건강 관리 시스템이다. 사전 예방, 실시간 모니터링, 신속 대응, 사후 관리를 아우르는 전주기적 접근은 극지 활동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AI와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극지의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핵심 열쇠다. 의료진이 상주하지 않는 소규모 캠프에서도 원격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AI가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며, 필요시 원격 진료를 통해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극지 연구 활동의 범위와 규모를 확대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보장하는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 극지의료지원센터: 한국 극지의학의 도약
윤기범 회장이 제안한 극지의료지원센터는 한국 극지의학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현재 극지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각 대학병원 등이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극지 의료 지원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효율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센터가 설립되면 극지 파견 인력의 체계적 건강 관리, 극지의료 전문 인력 양성, 극지 특화 의료 장비 개발,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극지에서 축적된 의료 데이터와 경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함으로써, 극한 환경 의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 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산학연 협력 모델의 구축
이번 학술대회에 참여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의 적극적 참여는 극지의학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다. 메쥬, 에이슬립, 딥메디, 아크릴 등 국내 유망 스타트업들이 제시한 솔루션들은 극지라는 테스트베드에서 검증을 거쳐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극지 환경에서 검증된 기술은 재난 현장, 오지, 군사 작전, 우주 탐사 등 유사한 극한 환경에 즉시 적용 가능하다. 이는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극지의학 발전에 필요한 민간 투자를 유치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 기후 위기 시대의 극지의학
정종오 극지기자단 회장이 강조한 기후 위기와 극지 안전의 상관관계는 극지의학의 역할 확대를 시사한다. 빙하 붕괴, 크레바스 증가, 예측 불가능한 기상 변화 등 새로운 위험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의료 대응 체계로는 한계가 있다.
회복력 중심의 극지안전 전략,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과 연계된 건강 관리 시스템,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의료 대응 프로토콜 개발 등이 시급히 요구된다. 극지의학은 이제 단순한 의료 서비스 제공을 넘어, 기후 위기 시대의 안전 관리 체계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 국제 협력과 융합 연구의 확대
COMNAP 활동, 일본의 응급 후송 시스템, 항공우주의학과의 연계, 북극항로 의료 수요 등 국제적 시각과 융합적 접근은 한국 극지의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남극조약 체제 하에서의 국제 협력은 의료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한국이 극지의료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다.
석영재 교수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김규성 교수의 항공우주의학 연계 연구 등은 극지의학이 단독 분야가 아닌 융합 과학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학제간 연구는 극지의학의 학문적 깊이를 더하는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 파급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극지의학, 미래 의료의 선도 분야로
제16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는 한국 극지의학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AI와 디지털 기술의 도입,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 산학연 협력 강화, 국제 네트워크 확대 등 이번 학술대회에서 제시되는 혁신적 방안들은 극지의학을 미래 의료의 선도 분야로 자리매김시킬 것이다.
조명신 극지의학회 이사장은 "극지의학은 더 이상 소수 연구자들만의 특수 분야가 아니다"라며 "기후 위기, 북극항로 개발, 우주 탐사 등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는 핵심 의학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제시되는 통합 의료 안전망은 극지뿐만 아니라 재난, 오지, 군사 작전 등 다양한 극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보편적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기범 회장은 "극지의료지원센터 설립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도입은 한국 극지의학이 세계를 선도하는 출발점"이라며 "정부, 학계, 산업계가 함께 노력한다면 극지의학 분야에서 한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극지의학이 단순한 현장 지원을 넘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결합하여 미래 의료를 선도하는 혁신 분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장이다. 극지라는 극한 환경에서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결국 인류 전체의 건강과 안전을 향상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제16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는 한국 극지의학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며, 여기서 논의되는 혁신적 방안들은 글로벌 극지의료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 안내
- 일시: 2025년 9월 18일(목) 10:00-17:00
- 장소: 극지연구소 송도 국제회의실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 주최: 대한극지의학회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 후원: 극지연구소 (KOPRI)
- 참가 신청: https://www.polarmed.org/ko/polarmed/classes/766
- 참가비: 사전등록 시 할인 적용
- 문의: 대한극지의학회 사무국
이번 학술대회는 극지의학 전문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정책 입안자, 연구자, 의료진 등 극지의료와 극한환경의학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에게 열려 있으며, 한국 극지의학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The 16th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Academic Conference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 - Convergence of AI Digital Healthcare and Polar Safety Policies
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President James Yun) will host its 16th Academic Conference on September 18 at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 Songdo, Incheon. Under the theme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 this conference will present a comprehensive blueprint for the paradigm shift in Korean polar medicin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AI-based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 in polar environments, proposals for establishing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and the development of safety policies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The conference will feature vivid reports of medical activities from polar field sites including King Sejong Station, Jang Bogo Station, the icebreaker Araon, and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 teams, alongside innovative solutions incorporat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remote monitoring, imaging diagnostics, and smart healthcare, heralding a new leap forward for polar medicine. This academic conference, bringing together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y, is expected to mark a crucial turning point where polar medicine evolves beyond simple field support into future medicine leading global healthcare innovation.
Comprehensive Academic Conference Examin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Polar Medicine
The 16th Academic Conference hosted by t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will be held on Thursday, September 18, 2025, from 10:00 AM to 5:00 PM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of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 Songdo, Incheon. With the main theme of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safety framework in polar environments," this conference is expected to present a new medical paradigm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polar environment and increasing polar activity population.
President Yoon Ki-beom of t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stated, "This academic conference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view the past and present of polar medicine and draw a blueprint for future polar medicine utilizing AI and digital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rough the proposal to establish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we aim to create a turning point that integrates the dispersed polar medical support system and maximizes expertise and efficiency."
The conference will feature congratulatory addresses from Representative Cha Ji-ho of the 22nd National Assembly, Director Shin Hyung-chul of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Chairman Cho Myung-shin of t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Board, and President Jeong Jong-oh of the Polar Press Corps. Over 100 experts including field medical staff from polar regions, digital healthcare company executives, policy exper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officials will attend to discuss innovative approaches to polar medicine.
Session 1: 2024-25 Polar Medical Reports - Voices and Experiences from the Field
Program Overview
Chair: Ko Kyung-nam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Asan Medical Center)
Time | Presentation Topic | Presenter |
---|---|---|
10:00-10:15 | King Sejong Station Medical Report | Dr. Bang Sung-kyu (38th King Sejong Station Overwintering Team) |
10:15-10:30 | Jang Bogo Station Medical Report | Dr. Kim Si-rim (12th Jang Bogo Station Overwintering Team) |
10:30-10:45 |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 Medical Report | Dr. Ryu Ri-na (Hyundai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
10:45-11:00 | Icebreaker Medical Report | Dr. Min Sun-young (Araon Icebreaker Ship's Doctor) |
Session Highlights
The first session will share vivid experiences and challenges from medical staff who served in polar regions during 2024-25. Dr. Bang Sung-kyu will present medical issues and response cases during the 38th overwintering period at King Sejong Station, detailing emergency response in polar environments, utilization of telemedicine systems,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strategies for overwintering team members throughout the year.
Dr. Kim Si-rim will introduce medical activities at the 12th Jang Bogo Station overwintering mission. The presentation will share experiences managing health during extreme cold exceeding -40°C and polar night periods, and responding to various medical situations with limited resourc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preventive medicine approaches and effective telemedicine system utilization.
Dr. Ryu Ri-na will present medical support experiences from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s. Medical activities in undeveloped areas without infrastructure present different challenges from station medicine. The presentation will address the operation of mobile medical equipment, emergency treatment in extreme environments, and helicopter evacuation system development.
Dr. Min Sun-young will report on maritime medical activities aboard the icebreaker Araon, covering various medical situations during long voyages, infection control in confined ship spaces, and treatment of injuries during polar research activities.
Session 2: Polar Medical Support and Safety Policies - Establishing Systematic Support Systems
Program Overview
Chair: Min Sun-young (Department of Surgery, Seoul Asan Medical Center)
Time | Presentation Topic | Presenter |
---|---|---|
11:00-11:15 | Media Perspectives on Polar Safety Amid Climate Crisis | Jeong Jong-oh (President, Polar Press Corps) |
11:15-11:30 | Safety Policies for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s | Jeon Sung-jun (KOPRI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 Team) |
11:30-11:45 | Proposal for Establishing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 Yoon Ki-beom (President,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
11:45-12:00 | Smart Safety in Polar Environments: Resilience-Centered Polar Safety Strategies | Prof. Jeong Ji-beom (UNIST, Department of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Session Highlights
The second session focuses on policy approaches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building to enhance safety in polar activities. President Jeong Jong-oh of the Polar Press Corps will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risis and polar safety from a media perspective, highlighting how rapidly changing polar environments affect researcher safety and emphasizing the need for public awareness and expanded policy support.
Researcher Jeon Sung-jun will share the safety policy development process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KOPRI's unexplored territory expedition team, presenting comprehensive approaches including risk assessm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emergency response protocol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s.
The highlight of this session is President Yoon Ki-beom's proposal for establishing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The proposed center would serve as a control tower overseeing pre-deployment health screenings and education, field medical staff support, telemedicine system operations, emergency evacuation systems, medical equipment and pharmaceutical management, and polar medicine research.
Professor Jeong Ji-beom will present new polar safety strategies centered on the concept of resilience, approaching from an engineering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systems that can adapt to polar environments and recover quickly from crisis situations, rather than simple risk avoidance.
Session 3: AI Transforming Polar Medicine - Reality and Prosp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Program Overview
Chair: Hong Jong-won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ime | Presentation Topic | Presenter |
---|---|---|
13:30-13:50 | Remote Vital Signs Monitoring for Polar Personnel | Sung Beom-sik (Director, MEZU Inc.) |
13:50-14:10 | Sleep Safety Solutions for Polar Personnel | Lee Dong-heon (CEO, ASLEEP Inc.) |
14:10-14:30 | Video-Based Health Monitoring for Polar Personnel | Lee Kwang-jin (CEO, DeepMedi Inc.) |
14:30-14:50 | Smart Healthcare Systems for Polar Medical Environments | Park Oe-jin (CEO, Acryl Inc.) |
Session Highlights
The afternoon's first session will specifically present innovative changes that AI and digital technologies will bring to polar medicine, with leading digital healthcare companies presenting solutions specialized for polar environments.
Director Sung Beom-sik of MEZU will introduce a remote vital signs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s and IoT technology. The system monitors key biosignals including heart rat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and oxygen saturation in real-time, with AI algorithms detecting abnormalities early.
CEO Lee Dong-heon of ASLEEP will propose sleep health management solutions for polar environments. Sleep rhythm disorders caused by polar night and midnight sun are major health issues for polar personnel. The presentation will offer AI-based sleep pattern analysis, personalized sleep improvement programs, and non-contact sleep monitoring technologies.
CEO Lee Kwang-jin of DeepMedi will present polar applications of video-based health monitoring technology, introducing innovative approaches including non-contact biosignal measurement using smartphone cameras or webcams, AI image analysis for skin disease diagnosis, and emotional state monitoring using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CEO Park Oe-jin of Acryl will propose an integrated smart healthcare platform for polar medical environments. This comprehensive solution implements medical data management, AI-based diagnostic assistance, remote consultation systems, and medical resource management on a single platform.
Session 4: Extreme Research Environments -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vergence Research
Program Overview
Chair: Cho Myung-shin (Chairman,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Board)
Time | Presentation Topic | Presenter |
---|---|---|
15:20-15:40 | 2025 COMNAP (JEGHBM) Report | Noh Yun-tak (35th Overwintering Research Team) |
15:40-16:00 | Microbiome Changes Due to Antarctic Life | Prof. Seok Young-jae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
16:00-16:20 | Emergency Evacuation Research in Japanese Antarctic Research Expeditions | Dr. Yuya Oda (Koyama Memorial Hospital) |
16:20-16:40 | Research Environment in Aerospace Medicine | Prof. Kim Kyu-sung (Inha University Space Environment Medic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
16:40-17:00 | New Research Environment of Arctic Routes | Prof. Choi Su-beom (National Incheon University Northern Logistics Education Cooper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
Session Highlights
The final session explores international trends in polar medicine and possibilities for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Researcher Noh Yun-tak will report on the latest activities of COMNAP (Council of Managers of National Antarctic Programs) JEGHBM (Joint Expert Group on Human Biology and Medicin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tatus.
Professor Seok Young-ja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ll present the latest research on the effects of polar life on the human microbiome, analyzing changes in the gut microbial ecosystem due to polar isolation, limited diet, and stress.
Dr. Yuya Oda from Japan will introduce the Japanese Antarctic Research Expedition's (JAR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and operational cases, sharing advanced Japanese practices including emergency patient evacuation experiences from inland Antarctic stations.
Professor Kim Kyu-sung from Inha University will explore commonalities and synergies between aerospace medicine and polar medicine, proposing specific ways to apply aerospace medicine expertise to polar medicine.
Professor Choi Su-beom from National Incheon University will examine new polar research environments expanding with Arctic route development, presenting new medical demands and response strategies extending from Antarctic-centered polar medicine to the Arctic.
Paradigm Shift and Future Prospects for Polar Medicine
Urgency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Medical Safety Net
The 'integrated medical safety net' presented at this conference is a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goes beyond simple medical service provision. The holistic approach encompassing prevention, real-time monitoring, rapid response, and follow-up care is expected to dramatically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polar activities.
The introduction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is key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olar medicine. Even in small camps without resident medical staff, health status can be monitored remotely, AI can detect abnormalities early, and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telemedicine when necessary.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A Leap Forward for Korean Polar Medicine
The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proposed by President Yoon Ki-beom is expected to be a turning point for Korean polar medicine to advance to world-class levels. By integrating polar medical support currently performed separately by various institutions, efficiency and expertise can be maximized.
Once established, the center will enable systematic health management of polar deployment personnel, training of polar medicine specialists, development of polar-specialized medical equipment, and building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s.
Building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Model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igital healthcare companies in this conference represents new momentum for polar medicine development. Solutions presented by promising domestic startups including MEZU, ASLEEP, DeepMedi, and Acryl show potential for validation in polar testbeds before expansion to global markets.
Technologies validated in polar environments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similar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disaster sites, remote areas, military operations, and space exploration.
Polar Medicine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risis and polar safety emphasized by President Jeong Jong-oh suggests an expanded role for polar medicine. With increasing new risk factors such as glacier collapse, crevasse increases, and unpredictable weather changes, existing medical response systems have limitations.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vergence Research
COMNAP activities, Japan's emergency evacuation systems, linkages with aerospace medicine, and Arctic route medical demands are broadening the horizons of Korean polar medicine. International cooperation under the Antarctic Treaty System is most active in the medical field, presenting opportunities for Korea to demonstrate leadership in polar medicine.
Conclusion: Polar Medicine as a Leading Field in Future Healthcare
The 16th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Academic Conference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milestone as Korean polar medicine prepares for a new leap forward. Innovative measures presented at this conference,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establishment of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and expansion of international networks, will position polar medicine as a leading field in future healthcare.
Chairman Cho Myung-shin of the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Board emphasized, "Polar medicine is no longer a specialized field for a few researchers. It is developing into a core medical field responding to new challenges facing humanity, including climate crisis, Arctic route development, and space exploration."
President Yoon Ki-beom expressed optimism, stating, "The establishment of a Polar Medical Support Center and introduction of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mark the starting point for Korean polar medicine to lead the world. With joint efforts from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y, Korea can secure global leadership in polar medicine."
Information
- Date: Thursday, September 18, 2025, 10:00-17:00
- Venu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Songdo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 Host: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 Sponsor: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 Registration: https://www.polarmed.org/ko/polarmed/classes/766
- Registration Fee: Early bird discount available
- Contact: Korean Society of Polar Medicine Secretariat
This academic conference is open to all interested in polar medicine and extreme environment medicine, including polar medicine experts, digital healthcare companies,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medical staff, and will be a valuable opportunity to shape the future of Korean polar medicin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