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트럼프 2.0, 효율화 중심으로 원격AI의료가 뜬다 (Trump 2.0 AI Healthcare Floats on Efficiency)

메디온테크 라이브: 트럼프 시대 의료 정책 변화와 미래 전망

메디온테크는 의료 분야의 기술 트렌드를 소개하고 글로벌-한국 간 메디컬 테크 생태계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트럼프 정부의 의료 정책 변화에 대한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방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메디컬 헬스 정책,  NIH 연구 보조금 삭감, 의료 정책 변화, 산업 영향, AI와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뤘습니다. (방송 시간: 00:00:00 ~ 00:35:37)

1. 트럼프 정부의 NIH 연구 보조금 삭감과 영향 (00:00:00)

트럼프 행정부는 국립보건원(NIH)의 연구 보조금을 20%에서 60%까지 대폭 삭감하여 약 5조 8천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삭감은 주로 캘리포니아 지역의 대학들과 동부의 명문 대학 병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학들은 연구 프로젝트 중단과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며 연방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매사추세츠 주는 이 삭감으로 인해 약 35억 달러의 연구비 감소, 5천 개 이상의 프로젝트 영향, 3만 개 이상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오바마케어와 바이든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반대 입장을 보여주며, 향후 의료 정책의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2. 트럼프 정부의 의료 정책 변화와 국제적 영향 (00:06:08)

트럼프 정부는 연방정부 축소, 보험제도 축소, 민간 보험 확대를 추진하며, 시장 경쟁 강화와 의료 분야 M&A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약가 협상에서 '호혜적 대우' 원칙을 적용하여 다른 국가들에게 약값 인하를 요구하고, 이를 통해 미국 내 OTC 의약품 가격 인하를 목표로 합니다. FDA 규제 완화, OTC 의약품 확대, 디지털 헬스 케어 및 AI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하여 미국 기업에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원격 의료 확대, 웨어러블 기기, AI 진단, 빅데이터 활용 강화 등을 통해 의료 불균형 해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3. 트럼프 정부의 의료 정책과 산업 영향 (00:15:34)

트럼프 정부는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중시하며, 이는 디지털 헬스와 AI 기술 기반 의료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FDA의 인증 과정 간소화로 신규 의료기기와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이 용이해질 것이며, OTC 의약품, 화장품, 백신 생산 등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는 성장이 예상되나, 의료기기 제조업은 미국 내 생산 요구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원격진료와 같은 글로벌 사업 모델은 미국의 규제를 우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3.1. 미국 의약품 시장 변화와 한국 제약 산업의 기회

트럼프 정부는 최혜국 대우(MFN) 정책을 통해 가장 좋은 약가를 제공하는 국가로부터 의약품을 수입하려 하며, 이는 한국에게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제네릭 의약품 생산 능력이 뛰어나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CDMO 기업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3.2. AI와 디지털 헬스: 트럼프 정부의 효율화 정책

트럼프 정부는 효율화를 중시하며, AI 기술 기반의 디지털 헬스를 통해 비용 절감을 추구합니다. FDA를 통한 인증 과정과 허가 과정을 가속화하여 디지털 헬스 시장의 확대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3. 트럼프 행정부의 의료 정책 변화와 산업 영향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의 보건부 장관 임명으로 빅파마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신규 의료기기 업체와 스타트업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4. 트럼프 정부 하의 의료 산업 전망

웰니스 영역에서 한국의 OTC 의약품, 백신 생산 능력, 화장품 산업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료기기 산업은 미국 내 생산 요구로 인한 비용 상승과 노동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격진료와 AI 진단 분야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로, 특히 캐나다를 통한 우회 사업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4. AI와 디지털 헬스케어의 부상 (00:27:02)

AI를 활용한 의료 진단, 원격 의료, 웰니스 관리 등의 분야가 트럼프 정부 하에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와 같은 혁신 제품에 대한 규제 완화와 빠른 승인 절차가 예상됩니다.

5. 방송 마무리 및 향후 계획 (00:35:37)

이번 방송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다루었습니다. 다음 방송에서는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있는 특정 기업들을 초청하여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의료 정책은 효율화와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헬스와 AI 기술 기반 의료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MedionTech Live: Trump-Era Healthcare Policy Changes and Future Prospects

MedionTech aims to introduce technological trends in the healthcare sector and connect the global-Korean medical tech ecosystem.  They recently hosted a live broadcast discussing healthcare policy changes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This broadcast delved into various topics, including NIH research grant cuts, healthcare policy shifts, industrial impact, and AI & digital healthcare. (Broadcast Time: 00:00:00 ~ 00:35:37)

1. Trump Administration's NIH Research Grant Cuts and Impact (00:00:00)

The Trump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cut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research grants by 20% to 60%, impacting approximately ₩5.8 trillion. These cuts primarily targeted universities in California and prestigious university hospitals in the East.  Universities raised concerns about research project disruptions and declining competitiveness, leading them to file lawsuits against the federal government. Massachusetts estimated that these cuts would result in a $3.5 billion decrease in research funding, affecting over 5,000 projects and leading to a loss of over 30,000 jobs. This reflects the Trump administration's opposition to Obamacare and the Biden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ies, foreshadowing significant changes in future healthcare policies.

2. Trump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y Changes and International Impact (00:06:08)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ursuing a reduction in the federal government, scaling back insurance systems, and expanding private insurance, anticipating increased market competition and M&A activity in the healthcare sector. It aims to lower OTC drug prices in the U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reciprocal treatment' in drug price negotiations, demanding drug price reductions from other countries. Policies such as FDA deregulation, OTC drug expansion, and digital healthcare & AI deregulation are being promoted to benefit US companies. It is also attempting to resolve healthcare imbalances through expanded telemedicine, wearable devices, AI diagnostics, and enhanced use of big data.

3. Trump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ies and Industrial Impact (00:15:34)

The Trump administration prioritizes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which is expected to positively impact the digital health and AI technology-based healthcare industries. Streamlined FDA certification processes will facilitate market entry for new medical devices and startups.  While sectors where Korea has a competitive edge, such as OTC drugs, cosmetics, and vaccine production, are expected to grow, the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industry may face difficulties due to demands for US domestic production. Global business models such as telemedicine may serve as alternatives to circumvent US regulations.

3.1. Changes in the US Pharmaceutical Market and Opportunities for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The Trump administration is seeking to import pharmaceuticals from countries offering the best drug prices through Most Favored Nation (MFN) policies, which could present opportunities for Korea. Korea possesses strong generic drug production capabilities, and CDMO (Contract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 companies such as Samsung Biologics are actively operating.

3.2. AI and Digital Health: Trump Administration's Efficiency Policies

The Trump administration emphasizes efficiency and aims to reduce costs through AI technology-based digital health. Accelerating certification and approval processes through the FDA is expected to support the expansion of the digital health market.

3.3. Trump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y Changes and Industrial Impact

The appointment of Robert F. Kennedy Jr. as Secretary of Health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act Big Pharma companies. Conversely, it could present new opportunities for emerging medical device companies and startups.

3.4. Healthcare Industry Outlook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Korea's OTC drugs, vaccine production capabilities, and the cosmetics industry are expected to show strength in the wellness sector.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s likely to face challenges due to rising costs and labor issues resulting from demands for US domestic production. Telemedicine and AI diagnostics are areas where global competitiveness can be achieved, with potential bypass business opportunities, particularly through Canada.

4. The Rise of AI and Digital Healthcare (00:27:02)

Areas such as AI-powered medical diagnostics, telemedicine, and wellness management are expected to grow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Regulatory easing and expedited approval procedures for innovative products like software medical devices are anticipated.

5. Broadcast Wrap-up and Future Plans (00:35:37)

This broadcast covered basic information about the Trump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ies. Future broadcasts will invite specific companies with global expansion potential for in-depth discussions.

Conclusion:

The Trump administration's healthcare policies focus on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which appears to offer new opportunities for the digital health and AI technology-based healthcare industries. Korean companies will need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actively seek new market opportunities in line with these changes.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