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폭탄: 한국 등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Trump's second term tariff bombshell: What it means for the global healthcare industry)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관세 정책이 미국 의료 공급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이 조치는  의료용품 비용 상승, 일반 의약품 부족 심화, 그리고 미국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핵심 부품 수입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요 영향:

의료용품 비용 증가:

  • 병원과 의료 시스템의 비용이 향후 6개월 내 최소 1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4]
  • 의약품 비용은 최소 10% 상승할 것으로 예측됨[4]

공급망 혼란:

  • 중국은 생명공학 제조의 핵심 역할을 하며, 첨단 제약 원료의 주요 공급원임
  • 주사기, 수술용 장갑, 개인보호장비 등 많은 의료용품이 중국에서 수입됨[2]

국내 제조업체에 대한 영향:

  • 철강과 반도체 같은 원자재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2]
  • 미국 내 제조로 전환하는 데 따른 비용 상승 우려[2]

긴급 상황 대응 능력 저하:

  • 공급망 일부가 중단될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음
  • 예: 허리케인 헬렌으로 인한 IV 수액 공장 피해 시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서 수입으로 대응[5]

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일시적인 위협인지 새로운 정상 상태인지 판단하려 노력하고 있다[5]. 그러나 이러한 정책 변화는 의료 제공자들에게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제공자들은 폐업이나 은퇴를 선택할 수도 있다[5].

한편,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 감소와 국내 제조 강화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COVID-19 팬데믹은 소수 국가로부터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것의 위험성을 보여줬다[8].

The potential trade war with China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U.S. healthcare supply chain:

Cost Increases:

  • Hospital and health system costs expected to surge by at least 15% in the next six months
  • Drug costs predicted to rise by at least 10%

Supply Chain Disruptions:

  • China is a key player in biopharma manufacturing and a major source of advanced pharmaceutical ingredients
  • Many medical supplies like syringes, surgical gloves, and PPE are imported from China

Impact on Domestic Manufacturers:

  • Increased competition for raw materials like steel and semiconductors
  • Concerns about costs associated with shifting to U.S.-based manufacturing

Reduce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 Difficulty in responding quickly to supply chain disruptions
  • Example: Reliance on imports from China, Canada, and Mexico during IV fluid shortages caused by Hurricane Helene

Healthcare industry experts are trying to determine if these tariff policies are temporary threats or a new normal. These policy changes could place significant financial strain on healthcare providers, potentially leading some to close or retire.

However, there are also concerns about over-reliance on China for medical supplies and ingredients. The COVID-19 pandemic highlighted the risks of depending heavily on imports from a limited number of countries.

The industry is grappling with uncertainty, trying to remain flexible and adapt to rapidly changing policies. There's a delicate balance between addressing national security concerns and maintaining a stable, affordable healthcare supply chain.

참고


[1] https://www.piie.com/research/piie-charts/tariffs-disrupted-medical-supplies-critical-us-coronavirus-fight
[2] https://www.advisory.com/daily-briefing/2024/05/17/chinese-biotech
[3] https://adaptivemedicalpartners.com/how-a-trade-war-could-affect-the-us-healthcare-industry/
[4] https://www.aha.org/2024-07-01-fact-sheet-impact-tariffs-health-care-equipment
[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441910/
[6] https://carnegieendowment.org/posts/2020/06/in-us-china-trade-war-new-supply-chains-rattle-markets?lang=en
[7]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19)31908-7/fulltext
[8] https://www.atlanticcouncil.org/blogs/econographics/the-us-is-relying-more-on-china-for-pharmaceuticals-and-vice-versa/

트럼프 2.0 행정부의 정책이 한국 메디컬 및 테크 산업에 미칠 영향

  • 보편관세(10~20%) 도입으로 한국의 의료기기, 의약품 등 주요 대미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 예상[1][3]
  • 미국 시장 점유율 감소 우려[2][3]

바이오시밀러 및 CMO 부문 영향

  • 현재 관세 면제 상태인 바이오시밀러와 위탁생산(CMO) 제품은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음[4]
  • 그러나 보편관세 적용 시 가격 경쟁력 약화 가능성 존재[1]

대중국 제재에 따른 영향

  • 미국의 대중국 제재 강화로 한국 기업의 중국 바이오 기업과의 협업에 제약 가능[2]
  • 바이오 소재 및 장비 부문에서 한국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공급망 전환과 자급률 제고를 위한 투자 필요[2][4]

새로운 기회

  • FDA 규제 완화로 디지털헬스 및 일반의약품(OTC)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 예상[4]
  • 미국의 중국산 의약품 수입 중단 정책으로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음[4]

대응 전략 필요성

  • 미국과 중국 시장에 맞는 맞춤형 전략 수립 필요[4]
  • 품질 관리와 기술 우위를 통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중요[4]

한국 헬스 산업인 트럼프 2.0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공급망 전환, 자급률 제고, 기술력 강화 등의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2][4].


[1]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734
[2] https://www.nongmin.com/article/20250113500248
[3] 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nid=304777
[4]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0167
[5] https://www.vitalkorea.kr/uploads/trend/트럼프 2.0 정부의 정책 동향과 국내 보건산업 영향 및 전망(최종).pdf
[6]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category=D&idx=256386
[7]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50293
[8] https://www.ajunews.com/view/20250116152518300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